자료실

합격수기

HOME > 합격현황 > 합격수기

건축사자격 시험 합격수기 이미지

글보기
제목
5번의 시험 끝에 합격
합격자 (수험번호) 박*균 (00264) 합격년도 2025년 1회 등록일 2025.08.06

2023년을 시작으로 5번의 시험 끝에 합격을 하게 되었습니다.

그동안 한솔아카데미의 현강, 인강을 쭉 수강했었는데, 많은 도움이 되어 이렇게 합격수기를 작성해봅니다.

 

2023년 1회차 – 54 / 51 / 54 – 전 과목 불합격

2023년 2회차 – 61 / 49 / 54 – 1교시 합격

2024년 1회차 – 00 / 47 / 83 – 3교시 합격

2024년 2회차 – 00 / 44 / 00 – 2교시 불합격

2025년 1회차 – 00 / 60.5 / 00 – 최종 합격

 

 

20231회차 시험 신설동에서 현강 수강

 

저는 주거지의 문제로 한솔 본원이 아닌 신설동 분원 종합반을 수강했었습니다.

일요일 수업 + 주차 문제 해결이라는 큰 장점이 있었고, 무엇보다 주거지와 가까워 저에게는 무척 메리트가 있는 분원이었습니다.

한솔 본원과 동일한 시스템으로 1교시, 2교시, 3교시 각각 강사님들께서 수업을 진행하셨고, 처음 감을 잡아가던 시기에 강사님들의 설명 하나하나가 정말 좋았습니다.

시험도 바로 붙을 것 같고 느낌이 좋았는데…

 

1교시 – 정북 일조 높이 실수로 분석 20점, 배치 34점으로 불합격

2교시 – 실 남향 배치 미적용, 계단 등 구성 요소 놓침으로 불합격

3교시 – 층 계산 실수로 구조 34점, 단면 20점으로 불합격

결과적으로 전 과목 탈락을 맞았습니다.

 

 

20232회차 시험 1교시 유튜브, 2교시 인강

 

학원에서 하루 9시간 이상 버틴다는 게 너무 힘들었고, 기본적인 이론은 다 깨우쳤다고 생각한 저는 한솔 인강(유튜브 1교시), 2·3교시는 인강 및 독학, 건삼구 유튜브로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유튜브 1교시는 정말 명강이었고, 9등분법이 저에게 너무도 잘 맞는 방법이었던 것 같습니다.

분석, 가각 전제를 틀려서 떨어질 줄 알았으나, 배치의 압도적인 배점 덕분에 턱걸이로 합격했습니다.. 분석 20점, 배치 41점으로 턱걸이 합격

 

2교시는 코어 남측 및 실 배치 이상으로 탈락, 3교시는 구조 점수가 20점, 단면 34점으로 탈락했습니다.

 

 

20241회차 시험 2교시 인강

 

2024년부터는 개인적인 공부와 병행하며 준비했기에 시험 보기 한 달 전부터 본격적으로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2교시는 프로세스 재정립이 필요하다고 느껴 김수원 선생님의 인강을 수강했고, 3교시는 2회차와 마찬가지로 독학했습니다.

3교시는 2023년 1회차 현강 수강 당시 오호영 선생님께서 너무도 잘 알려주셔서 어려움 없이 진행할 수 있었고, 구조가 조금 어려워 건삼구 유튜브를 참고하여 공부했습니다.

2교시는 여전히 실 배치의 어려움과 코어 남측 배치, 실 구성 오류로 낙방하였고,

3교시는 그리면서 "이건 100% 합격이다"라는 생각이 들 정도였습니다.

구조가 조금 생소해서 1시간 10분 정도 소요되었던 것 같은데, 단면을 그리고 나니 10분 정도 시간이 남아 이것저것 노트했던 기억이 납니다.

시험 중 오호영 선생님께서 현강 때 강조하신 "계단참에서 보높이 2.1m 반드시 유의"라는 말씀이 떠올라 진심으로 감사해하며 그렸습니다.

구조34점, 단면 49점으로 합격

 

 

20242회차 2교시 인강

 

2교시만 남은 상태였고, 첫 시험 이후 점수가 계속 하락하면서 자신감이 많이 부족했던 시기였습니다.

이때 신명숙 선생님의 샘플 강의를 듣고 "이 강의를 정독하면 합격 가능하겠다"는 생각이 들어 인강을 수강하고, 카페에 도면을 올려 첨삭받으며 열심히 준비했습니다.

하지만 현장에서의 멘탈 붕괴와 ‘하나의 존’이라는 개념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해 실이 어긋났고, 시험 난이도 자체도 너무 쉬웠던 터라 저는 매스 형태부터 이형으로 그려 44점이라는 역대 최저점을 받고 탈락하였습니다.

 

 

20251회차 2교시 인강

 

직전 시험에서 44점이라는 최저점을 받고 멘탈이 흔들리던 시기, 마지막으로 신명숙 선생님의 인강을 듣고 시험에 응시해보고, 그래도 안 되면 한솔 본원 현강을 듣자고 마음먹었습니다.

실시간 라이브 강의를 시청하며 공부를 시작했고, 외부 공간, 매스 형태, 실 배치, 코어 배치 등 선생님께서 강조하신 내용을 머리에 새기며 정말 열심히 준비했습니다.

시험 당일, 시험이 정말 너무너무 어려웠습니다.

 

직전 시험에서 낭패를 본 ‘하나의 존’이라는 문구가 또 나와 순간 당황했지만, 내부 하나의 존을 지키려 노력했고, 그 과정에서 외부 매스 형태가 ㄹ자로 나와 "아, 정말 망했다"는 생각을 하며 한솔 현강을 알아보고 있던 차에 합격 소식을 들었습니다.

선생님께서 누누이 말씀해주신 프로세스를 최대한 지켜가며 계획하다 보니, 남들보다 조금 더 경쟁력 있는 평면이 그려졌고, 평가자들에게도 더 좋은 인상을 남긴 것 같습니다.

 

횡설수설하게 작성했지만, 지난 2년 반 동안 제 시험 여정에 함께해주신 한솔아카데미 선생님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좋은 건축사가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목록

이전글 시험이 끝난 뒤 '아, 떨어졌다...' 싶다면, 합격!
다음글 '난 이것도 안다' 라는 표현을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