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지가 한개층 단차가 나는 경우 아랫층은 필연적으로 일부가 묻히게 됩니다.
대지단면계획과 관련하여 출제자의 의도를 분명히 파악하여 계획의 방향을 잡아야 할 것입니다.
본 문제에서는 기계실, 고창으로 채광이 가능한 강당, 창고, 코어 등이 잠기는 부분으로 가는 것이 합리적일 것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독서공간이 공간의 구심점이 되어야 되는데 독서공간과 오픈공간이 따로 분리되어 있는 점이 부자연스럽고요, 기계실이 로비에서 바로 접근되는 점도 어색합니다.흙에 묻히는 부분은 채광과 환기를 위해 DA 설치 필요한데 누락하셨고요 휴게마당은 적극적으로 표현하시고요, 출입구 전면공간 확보가 필요해보입니다.
합격을 기원합니다.
임덕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