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버튼

마이페이지
합격현황
축! 합격! 한솔아카데미는 신뢰할 수 있습니다. 신뢰는 하루아침에 이루어질 수 없습니다. 수험생께서 합격되시는 것을 최고의 보람과 기쁨으로 여기고 최선의 노력을 다 할 때 신뢰는 조금씩 쌓여가는 것으로 한솔아카데미의 신뢰만큼은 누구도 모방할 수 없을 것입니다.

 

비전공자로

한솔아카데미를 통해 예비시험부터 자격시험까지

2019년 7월: 건축사예비시험 합격

2021년부터 건축사자격시험준비

2021년 1회: ×

2021년 2회: ×

2022년 1회: 1교시, 2교시 합격

2022년 2회: ×

2023년 1회: 3교시 합격 (최종합격)

 

  23년 1회에 최종합격한 이준호입니다.

저는 학부에서 서양화를 전공하고 인테리어회사에 취업을 하였습니다. 이후 독립하여 현재까지(20년간) 건축/인테리어회사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인테리어디자인의 전문성을 키우기 위해 2011년 “홍익대학원 실내건축설계학과”를 졸업하고 “실내건축기사”를 취득하여 경력을 쌓았습니다.

 

#.어이없는 도전

  본업을 해오면서 “건축사”를 취득한다는 것은 상상도 하지 못했습니다.

시험을 보게 된 계기는, 오랜 시간 많은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인테리어공사 이 외에도 건축을 하거나 건축디자인에 참여하는 일이 많았는데, 디자인/설계과정에서 건축사님과 의견이 대립 되는 경우가 생기면서, ‘내가 건축사를 취득해볼까?’하는 마음에 알아보았고 응시자격이 되는 것을 알게 되어, 건축사시험을 준비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합격했기에 결과적으로 “건축사”도전이 너무나 잘한 일이지만, 사실 무모한 도전이었습니다. 고등학교 때 전국 미술 실기대회에서 큰상을 많이 받았고 대학교는 4년 전액 특기 장학생으로 입학하였기에 손으로 하는 작업형 시험에는 너무 큰 자신감이 있어 1차 “예비시험”만 합격하면 2차“자격시험”은 따논 당상이라 생각했었습니다. (지금 생각해도 참~ 바보 같습니다.)

하여튼 뭐에 씌인 것처럼 “자격시험”에 대해 잘 알아보지도 않고 실내건축기사 때처럼 도면작도만 잘하면 되는 줄 알았다는 것입니다.

 

#.비전공자//법규, 시공, 구조 등,,, 이론은 어떻게???

  건축사시험에 대해 조언받을 만한 분이 없어, 인터넷검색을 통해 “한솔아카데미”를 알게 되었습니다. 이론은 거의 전무 했기에 막막했으나, 한솔아카데미 온라인수업(건축사예비 1+2단계 완벽대비과정)덕분에 2019년 “예비시험”에 합격할 수 있었습니다.

 

  바쁜 일정에 “자격시험”을 미루고 있던 차에, 2차 시험은 언제 보냐는 지인의 질문에 시험공부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자격시험이 도면작도만 잘하면 되는 줄 알았다가, 출제유형과 기출문제를 보니... 한 대 맞은 것처럼 ‘멍~’하고 답답해졌습니다... ‘뭐 됐다!’

  성격상 포기할 수는 없었고, 우선 시작하자는 마음으로 자격시험 역시 한솔아카데미 온라인수업(건축사자격 1+2단계 완벽대비반)으로 이론공부를 다시 시작하였습니다. 비전공자인 제가 온라인수업으로 이론은 만족하며 공부할 수 있었지만, 이론을 실기(작도)에 옮기거나 적용하는데 2% 부족한 느낌이 있었습니다. 그러던 중 ‘김수원’ 강사님께서 대전에 오시는 것을 알고 ‘대전 현대건설고시학원’에 등록하였습니다. 실력으로 정평있는 ‘김수원’ 강사님을 대전에서 만날 수 있어서 감사했습니다. 21년 ‘김수원’ 강사님의 “1교시 유튜봐”와, 대전 학원에서 함께하였고

“22년 1회-1교시, 2교시” 합격하였고 “23년 1회-3교시 최종합격” 하였습니다.

 

#.교시별 공부

1, 2, 3교시 공통

건축사자격 1+2 완벽대비로 이론정리

강의 3~5번 정도 반복으로 보며 핵심노트 정리, 갖고 다니며 틈틈이 봄

-처음 A4 앞뒤 3장, 2장으로 다시 정리, 1장으로, 마지막 1쪽으로 최종 정리.

기출문제 10개년치 (저는 2014년도 기출문제부터~ )

학원문제와 기출문제 10개년치 반복 작도. 한 회 당 최소 7~10번이상 작도함.

 

공부시간 배분(시간표)

저는 일을 하면서 시험을 준비해야 했기에 2년 정도 기간을 목표로 계획을 세웠습니다. 쉬지 않고 계속 달릴 수 없기에 시험 ○○일 전부터 하자는 계획으로~

아래 시간표는 처음과 두 번째 시험 볼 때는 3달(90일) 전부터 적용하였고,

마지막 시험 때는 45일 정도 전부터 적용했습니다.

 

아침에 1시간 일찍 일어나 출근 전에

1교시 분석조닝(월.수.금), 3교시 구조(화.목.토)

일과 후 매일 3시간정도 1교시-배치(월.목), 2교시(화.금), 3교시-단면(수.토)

1교시-배치와 3교시-단면 작도는 2시간하고 남는 1시간은 이론공부를 했습니다.

일요일/공휴일은 3과목(소과제-분석조닝, 구조 제외) 모두 하려고 노력했습니다.

 

 

시험 5일 전부터는 3과목 모두 나만의 모의고사를 보았습니다.

(이때는 분석조닝, 구조 도 함께 풀었구요)

 

※저처럼 비전공자라 궁금하신 분은 메일 주세요. joono101@naver.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