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2021년 4월부터 시작된 건축사 도전이 약1년 6개월만에 마무리되어 합격수기를 씁니다.
도전하게 된 이유는 건축사자격증을 취득하여 감리회사를 친구들과 차릴 생각으로 시작했습니다. 참고로 전 건설회사에서 약23년 근무했으며 설계와 무관한 ‘시공과 공무’일을 해왔습니다.
1교시 : 처음 시작하고 가장 어렵게 생각든 과목은 1교시 배치와 분석, 작도부터 시작하여 3개월이 지나도 스케일감이 없어 배치에서 완도하기 어려워, 먼저 분석에 집중했는데요 기출문제부터 법은 조금 바뀌었으나 2010년도부터 최근까지 면적계산까지 익숙해질 때까지 3~5번 반복해서 풀고 난뒤 학원문제를 연습했습니다. 학원문제도 3번 반복연습하여 40점중 25점을 목표 연습했습니다. 분석 처음에는 2시간이상 걸렸으며 나중에는 55분~1시간15분정 걸림, 어려운 문제는 1시간25분
배치는 다이어그램으로 그룹을 확정한 뒤 지문에서 요구하는 주요영역을 틀리지 않게 결정하고, 현황도에 10m x 10m 그리드를 대지에서 5m 이격하여 그리고 난 뒤 트래싱지를 올려놓고 주요동선을 표시하고 건물과 외부공간을 실제크기로 넣고 조경공간과 보도, 조경공간을 이격하여 건물와 외부공간이 들어가는지 확인하는 방법으로 완도 연습하였습니다. 주차장은 공간만 확보하고 제일 나중에 그려 넣음(1~2대는 많거나 적을 수 있음 고려)
2021년 10월 2일 시험까지 완도기준 배치 60장, 분석 88장 - 1교시 합격
2교시 : 3시간에 계획과 작도를 하기 때문에 가장 편하게 생각들었던 과목입니다. 배치와 마찬가지로 평명에서 제일 중요하게 생각했던 것은 지문에서 주어진 실의 영역을 틀리지 않는 것이라 생각하고 접근했습니다.
2011년도부터 최근까지 기출문제 약 3~4번 반복연습, 현황도에 대지에서 요구하는 거리 이격 후 7m x 7m 그리드를 긋고 다이어그램으로 확정된 그룹과 지문에서 확정된 실을 먼저 실의 크기를 고려(스케일감 맞게) 그리드에 그려넣고 출입동선과 복도 동선이 명확한지 검토했습니다.(7m x 7m 그리드는 최종 복도 폭2.1m~2.4m와 주어진 모듈 문제에 맞게 40, 50, 60모듈 크기로 수치 조정)
평면은 영역과 동선이 명확해야 함을 기출문제 답을 보며 복도동선에 형광펜으로 색을 칠해가며 알 수 있었습니다.
2021년 10월 2일 시험까지 완도기준 평면88장 - 2교시 불합격(55점) 원인 : 지문이해 부족과 1층에서 창고누락, 2층에서 무창실 생김
2022년 03월 19일 시험까지 완도기준 평면87장 – 2교시 합격
3교시 : 가장 쉬울 것으로 생각했던 3교시 그러나 2021년 10월 2일 시험 2주전 겨우 시간내에 완도하기 시작(가단면 계획 없이)하여 시간에 압박 받고 시험에 임하여 구조에서 오픈부분을 철골로 덮어 12점 받고 불합격.
2022년 03월 19일 시험은 단면은 너무 쉽게 출제되고, 구조는 현황도와 답지를 다르게 하여 함정을 파놓았는데 현황도보고 계획하다 연결다리도 누락하고 답안 제출, 구조에서 18점으로 불합격(단면작도 가단면 없이 1시간55분~2시간5분)
‘올 가을에는 마무리 한다’는 마음으로 단면은 매일1장 이상 소과제는 구조 계단 지붕 코어 설비까지 모두 기출문제 학원문제 3번씩 연습했습니다. 단면도는 현황평면을 보지 않을 정도로 가단면(35~45분)을 정확하게 계획하고, 작도(약 1시간15~25분)하였으며, 펜은0.9B와 0.5B(마감글씨)로 연습하였으나, 시험장에서는 시간이 부족하여 0.9B로만 완도(가단면1시간15분, 작도1시간, 구조40분 사용). 구조에서 30점 받고 3교시 합격
(개인생각 : 요즘 구조가 3교시 당락을 좌우하는 경향)
‘남들이 하는 만큼 하면 합격하기 힘든 시험!’ 임을 깨닫게 해준 시험(1,108장이 증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