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버튼

마이페이지
합격현황
축! 합격! 한솔아카데미는 신뢰할 수 있습니다. 신뢰는 하루아침에 이루어질 수 없습니다. 수험생께서 합격되시는 것을 최고의 보람과 기쁨으로 여기고 최선의 노력을 다 할 때 신뢰는 조금씩 쌓여가는 것으로 한솔아카데미의 신뢰만큼은 누구도 모방할 수 없을 것입니다.

 안녕하십니까. 2022년 1회 건축사시험에 합격한 전용훈입니다. 그동안 눈으로만 봐왔던 합격 수기를 직접 적고 있으니 감회가 새롭네요..

 저는 2번의 시험 끝에 합격하였습니다. 2021년 2회엔 3과목 모두 60점을 넘지 못했습니다. 반면 2022년엔 3과목 모두 60점을 넘어 합격할 수 있었습니다. 많은 분들의 도움과 운이 좋아서 이런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1. 전략적인 준비

 이 합격 수기를 보는 처음 건축사를 공부하시는 분께 당부하고 싶은 말은 모든 과목을 60점 수준으로 맞추라는 것입니다. 시험에서 모든 과목이 어렵게 나오지 않습니다. 어려운 시험은 2-3과목이 어렵게 나오겠지만 평균적으로 봤을 때 1-2과목은 할만한 과목이 나옵니다. 그건 1~3교시 중 어떤 과목이 그렇게 나오는지는 알 수 없으나 모든 과목을 60점 수준으로 올려놓고, 쉽게 나오는 과목에서 결판 본다는 마인드로 시험을 치시면 멘탈적인 부분에서 훨씬 여유롭게 시험을 칠 수 있을꺼라 생각합니다. 첫 시험에서 1-2과목 된다면 다음 시험은 훨씬 여유롭게 준비하실 수 있습니다. 두 번째 이상 시험을 보시는 분들은 과목당 70점 이상 받는다는 생각으로 접근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1,3교시는 2문제가 출제되니 그중 자신 있는 문제 또는 쉽게 나오는 문제는 꼭 정답과 근접하게 풀어내신다고 생각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저도 이런 마음가짐으로 준비하였고 2021-2회 시험에서는 모든 과목을 60점 정도로 준비하였고, 결과적으론 50점 중 · 후반대로 세 과목 다 떨어졌지만 2022-1회 준비를 할 땐 기본 베이스가 있었기 때문에 과목당 70-80점 수준으로 맞추는 것이 어렵지 않았습니다. 그 결과 이번 시험에서 운 좋게 세 과목 모두 합격할 수 있었습니다.

 

2. 각 과목당 세워야 하는 전략

1교시

 분석 · 조닝은 일단 관련된 법규를 모두 정리한 뒤(A4 3-4장) 모두 암기한 뒤에 문제를 푸는 것이 좋습니다. 분석 · 조닝은 제가 느끼기에 조금의 잘못된 접근에도 점수 편차가 크게 나기 때문에 어려운 과목이라 느꼈고 매일 1문제 이상 풀면서 문제가 나올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를 대비한 것 같습니다.

 배치는 사실 시험 문제지가 A3로 한정되어 있어서 배치 문제로 나올 수 있는 땅의 사이즈가 대략적으로 정해지는데요. A3 문제지 특성상 가로 : 세로 비율이 2 : 3 이므로 땅 사이즈도 그와 비슷하게 나오거나 정방형 땅 사이즈가 나오게 됩니다.

 주 도로의 위치에 따라 땅이 가로 장변, 세로 장변으로 나뉘고, 메인 동선에 따라 그 대지가 분할되기 떄문에 대지 현황도만 봐도 문제가 어떤식으로 흘러갈지 대충 보이게 됩니다. 그 이후에 영역별로 그룹핑하고 그것을 조건에 맞게 배치하면서 풀어내면 됩니다. 큰 맥락을 생각하면서 거시적인 시각으로 문제를 보고 그 이후에 문제 조건에 맞게 풀어내는 훈련을 하시면 배치가 훨씬 쉽게 느껴지실겁니다. 모든 문제를 이런식으로 크게 분류하면서 노트 정리하면 됩니다.

 

2교시

 평면은 영역별로 묶고, 그 영역을 코어를 기준으로 나눠주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코어의 위치를 찾는 연습을 꾸준히 하신다면 정답과 근접한 답안을 작성하실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3교시 (연습량이 중요)

 단면은 개인적으로는 연습량의 척도라고 생각하는데요... 단면은 많이 그려보고 또 그려보는 과정에서 더 많은 정보를 기입하려는 피드백이 중요합니다. 계획은 30~40분 이내, 도면 작도는 90분~100분 총 120~130분 정도로 작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시간 내에 들어오시는 분은 더 많은 정보를 기입 하시려고 노력하시길 바랍니다. 저는 계획을 꾸준히 연습하여서 30분으로 맞췄기 때문에 도면 작도 시간을 100분정도 사용하였습니다. 덕분에 많은 정보량을 기입 할 수 있었습니다. 이처럼 단순하게 130분으로 맞추는 것 보다 세세한 과정에서 시간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구조는 요즘 시험에 들어서 많은 사고가 필요한 문제가 나오는데요. 어떤 구조가 나와도 대응할 수 있는 기본기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10개년 문제 정도는 1-2번 풀어보고 그와 유사한 학원 문제는 수월하게 풀 수 있다면 좋을 것 같습니다. 구조 디테일도 사실 철골, RC, SRC 각 부분 접합 상세는 변하지 않으니 꼭 알고 들어가는 것이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전해드릴 말은 사실 제가 합격하였으나, 제 방식이 정답도 아니고 많은 합격하신 분들과 다를 것이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시험날까지 절대 포기하지 않은 것. 그것은 모든 합격자 분들과 똑같다고 생각합니다.

 주중에 일하면서 과제하고 주말에 학원 가는 일정이 쉽지 않으나 6개월에서 1년 안에 털어낸다고 생각하고 포기하지 않고 열심히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절대 포기하지 마세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