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안녕하세요. 2020년 건축사 공부를 시작하여 2021년도 1회를 끝으로 최종 건축사를 합격하였습니다. 처음 공부를 시작하였을 때는 완도조차 하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천천히 꾸준하게 연습을 하였고 어느 순간부터는 완도가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시험 준비과정에서 제일 중요한 것을 꾸준함과 인내입니다. 제가 많은 도움을 받았기에 각 교시별로 중요한 부분을 간략하게 후기로 남기고자 합니다.
처음 공부를 시작할 때 어떻게 해야하나?, 문제는 어떻게 접근해야하나? 완도가 가능한 시험인가? 등 많은 의문이 들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점점 지날수록 완도를 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어 틈틈이 시간을 내어 공부를 하였습니다. 첫 시험에서 중요한 것은 작도에 적응하는 것, 그리고 어떻게는 완도하는것 이라고 생각합니다. 문제를 아무리 잘 접근하고 풀어도 완도를 하지 못하면 의미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완도를 할 수 있는 작도연습이 된 이후 비로서야 문제를 풀 수 있는 공부를 시작하였습니다. 작도하는 연습만 하더라도 문제에 접근하는 방법과 과정들이 자연스럽게 습득이 되었습니다.
첫 시험을 보고나서 무엇이 부족했을까? 에 대해 고민을 하였습니다. 사실 수험생 입장에서 고민하는 것보다 학원 교수님에게 물어보는 것이 빠르다고 생각되어 단면 작도한 것을 보여드렸습니다. 총 5장을 보여드렸는데 제가 부족한 부분들이 무엇인지 바로 알 수 있었습니다. 교수님과 면담한 시간은 30정도였습니다. 하지만 그 30분이라는 시간을 통해 지문의 요구사항들을 단면에 표현하는 방법과, 정확하게 작도하는 법을 알게되었습니다.
1교시는 자신이 없는 과목이었습니다. 분석조닝은 한번 막히면 계속 풀지 못하는 악순환의 과제였습니다. 항상 분석조닝에서 시간을 많이 소비하다보니 배치에 대한 도면 수준이 떨어졌습니다. 분석조닝을 공부할 때 정확한 프로세스를 통해 접근하는 방법을 보완하였습니다. 그리고 지문을 꼼꼼하게 검토하여 놓친 것은 없는지 검토하는 습관을 만들었습니다. 분석조닝은 정확하게 시간안에 푸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분석조닝은 답이 있기에 100점을 목표로 공부를 하였습니다. 그리고 과제들을 도면체크실에 올려 매번검토를 받았습니다. 검토를 받아보니 분석조닝은 표현하지 않아도될 수치를 적어 시간을 소비하는 습관, 배치는 등고조절 표현방법이 정확하지 않다 라는 문제점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를 해결하여 합격할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시험을 준비하면서 자신이 부족한 것이 무엇인지 스스로 파악하기는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시험은 시험이기에 각 담당 교수님들에게 답안을 보여드리고 검토받는 것이 합격의 지름길이라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