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2020년 1회 건축사 시험 최종합격자 손세정입니다. 2019년에 2, 3교시 합격, 2020년 1회 시험에 1교시 합격으로 최종 합격하였습니다. 저는 부천 중앙직업전문학교에서 2019년 건축사 자격시험 대비 강의부터 수강을 시작으로 해서 약 19개월 정도 공부를 한 끝에 최종합격을 할 수 있었습니다. 도면은 약 400장정도 그린 것 같습니다. 시기적으로 운도 많이 따라준 것 같고, 학원에서 강사님들이 늘 하시는 말씀에 최대한 부합해보려고 노력한 덕분에 최종합격자가 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제 경험을 말씀드리기 위해서 우선 제 점수를 알려드리겠습니다. 1교시 총 70점에 배치 36점(55%), 분석조닝 34점(97%)입니다. 2교시는 73.5점이고, 3교시는 총 65.5점에 단면계획 39점(65%), 구조계획 26.5점(66%)입니다. 이 말씀을 드리는 이유는 2개의 과제가 있는 1,3교시 시험에서 주요 과목에서 고득점을 맞지 못했지만 합격을 할 수 있다는 걸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첫 번째 시험을 보고 점수를 받기 전까지는 채점자분들이 어떻게 채점하시는지 감이 오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점수를 받아보니 꼼꼼하게 채점을 하시는 것 같다고 느꼈고, 다음 시험을 준비 할 때에는 점수 위주로 작도하려고 노력하였습니다. 우선 1,3교시 주요 과목인 배치계획과 단면계획은 학원에서 제시한 모범 답안과 제 답안은 50%정도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지문을 만족하지 못한 답안을 제시했었습니다. 그러나 지문에서 표시하라고 하는 사항은 틀리더라고 모두 표현을 하려고 했습니다. 이유는 2019년 첫 시험에 1교시 불합격을 한 이유가 배치계획에서 지형조정과 레벨표기를 하지 못했던 것과, 분석조닝에서 계산을 잘못해서 건축 개요의 숫자가 틀린 것이라고 느꼈기 때문입니다. 이런 점에서 정말 꼼꼼하게 채점하신다고 생각한 것입니다. 건축사시험은 계획시험이니 이런 건 중요하지 않을 거라고 생각 드시는 것이라도 부분점수를 받기 위해서라도 꼭 표기를 하셔야한다는 걸 말씀드립니다.
제가 정말 시기적으로 운이 좋다고 생각이 들은 이유는 년 1회 시험을 치를 때 공부를 했던 것도 있다고 봅니다. 년 2회 시험으로 수강을 하니 아무래도 시간이 촉박하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습니다. 연습을 정말 많이 하셔야 합니다. 저는 손이 느려서 전 과목을 주어진 시간 안에 문제를 풀 수 있는 수준에 도달하는데 약 6개월 정도 걸렸던 것 같습니다. 시험 전에는 쉬운 문제는 10~20분정도 시간을 남겨서 풀 수 있어야 하고, 어려운 문제도 3시간 안에 반드시 풀어야 하기 때문에 계획프로세스와 작도 시간을 반드시 시험시간 안에 완료할 수 있도록 연습 하셔야 합니다. 제가 처음 3교시 단면 작도를 했을 때 상당히 막막하였습니다. 2시간 30분 정도 걸렸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그때 강사님께서 당연하다는 듯이 말씀하시며 노력으로 극복해야 한다 하시며 같은 도면을 수차례 반복해서 작도할 것을 권유하셨습니다. 그래서 단지 작도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 같은 도면을 20장 이상 작도를 했던 것 같습니다. 손가락 관절에 염증이 생길 정도로 연습한 결과 1시간 30분으로 단축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도면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서 실무도면에 표시한대로 작도하는 것과 강사님이 알려주시는 표기 방법대로 작도하였습니다.
지금까지 말씀드린 내용이 수험생 분들에게 도움이 될지 모르겠습니다. 지금까지 경청해 주셔서 감사드리며, 반드시 합격하시길 바라겠습니다. 파이팅!!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