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사합격 조금 부족해도 실수해도 괜찮아요~ 제가 생각하는 집짓기란 100점 만점으로 보면 설계 60점+시공20점+사용자20점이 보테져서 완성되는게 아닐까합니다. 욕심을 버리세요~ 그러면 좀 편안히 공부할 수 있는것 같아요. 2018년 어느해보다 열심히 했지만 불합격을 알았을때 스스로 괴로워했던것 같아요. 아~그것만 실수하지 않았더라면... 하지만 우연히 듣게 된 법륜스님 말씀 중에 시험에 떨어져서 괴롭다는건 욕심이라더군요. 원이란 떨어지면 다시수정해서 도전하면 되는 것이지 괴로워할 이유가 없다는 말씀을 듣고보니 건축사란 자격증을 욕심을 내는것인지 원을 세운것인지 스스로 돌아보게 되었습니다.
2010년 한솔 종합반 수강을 시작으로 그해 전과목 불합격 그리곤...7년 후(여러 이유로 시험만 응시) 한해 한 과목씩만 합격 해보자! 2017년 평면: 합격 60점 2018년 단면: 불합격 54점(37+17) 2019년 배치(인강)/단면: 배치합격 61점(38+23)/ 단면 불합격:53.5점(30+23.5) 2020년 단면: 합격 71점(47+24)
60점 합격점을 위해서는....(직장인) 1.공부시간: 꾸준히 할수있는 하루 시간정하기 30분(많은면 좋겠지만) 2.과년도분석: 하루 30분 뭘 할수있을까? 과년도 10년치 문제읽기(무한반복)+과년도 동영상 3.작도: 부분작도 후 완도(5분,10분,20분,30분: 공부시간30분에 할수있도록 많이쪼개서 연습) 4.풀이순서정립: 답지2장 붙이기를 시작으로 1분1초를 아낄수 있도록 풀이순서 정립 5.합격수기읽기: 동기부여와 공부방향을 정할수있는 가장 좋은 길잡이
하루 30분 최대한 집중하시고 가볍고 행복하게 공부하세요. 포기하지 않으면 당신은 이미 대한민국 건축사입니다. 끝으로 임덕종, 김주석, 김수원 교수님을 비롯한 한솔아카데미 교수님께 감사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