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버튼

마이페이지
합격현황
축! 합격! 한솔아카데미는 신뢰할 수 있습니다. 신뢰는 하루아침에 이루어질 수 없습니다. 수험생께서 합격되시는 것을 최고의 보람과 기쁨으로 여기고 최선의 노력을 다 할 때 신뢰는 조금씩 쌓여가는 것으로 한솔아카데미의 신뢰만큼은 누구도 모방할 수 없을 것입니다.
 

 2017년 건축사 예비시험 합격부터 준비한 끝에 2019년 1,2교시에 합격하고, 2020년 1차시험에 3교시 합격을 마지막으로 만 3년이 걸려 건축사 자격시험에 합격 하였습니다. 돌이켜 보면 투자한 시간만큼 점수를 얻는 시험인 것 같습니다.


 2017년 예비시험에 합격을 확인한 이후부터 준비 하였는데, 처음에는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전혀 감이 잡히지 않았습니다. 시험의 출제방식이 어떻건 이론이 기본이 되어야 한다는 생각으로 온라인 정규과정 종합반에 등록 하였습니다. 대략 3개월 정도의 시간이 있었는데 개인적인 사정으로 공부에 할당할 시간을 내기 어려워서 이론을 문제에 대입해서 적용하기도, 작도법을 익히기에도 부족한 시간이었습니다. 온라인 강의의 완강에만 급급한 상태에서 시험을 봤는데 3과목 모두 40~50점 사이의 점수로 떨어졌습니다.


 여기에서 약간은 자만심이 생긴 것 같습니다. ‘이정도밖에 준비를 하지 못했는데 이 정도 점수이면, 적당히 준비해도 되겠네?’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2018년 시험을 두달여 남겨두고 온라인 교재를 다시 복습하고 기출문제의 답안을 똑같이 그려보며 작도법을 익히고, 10개년 기출문제를 두어 번씩 풀어보고 홈페이지의 동영상 강의 및 모범답안을 보면서 나름의 채점을 해 보았습니다. 답을 어느 정도 알고 있는 상태에서 풀어보니 제 도면은 답안에 어느 정도 근접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알 수 없는 자신감과 함께 도전한 2018년 시험은 모든 과목 50점 초반대로 낙방 하였습니다.


 ‘뭐가 문제지?’ 라고 생각하고 있을 즈음, 합격한 지인이 본인이 공부했던 자료를 주겠다며 차를 몰고 오라고 했습니다. ‘무슨 자동차씩이나 필요할까’ 하고 방문한 지인 집에는 족히 세 뼘은 넘어 보이는 A3 종이뭉치가 있었습니다. (한솔 문제풀이/ 모의고사과정만 3년정도 들었다고 하네요) 이 정도는 풀어야 합격할 수 있을 거라는 지인의 이야기에 저는 충격과 동시에 자만심이 싹 사라졌습니다.


 2019년 시험은 1월부터 준비 하였습니다. 제가 가지고 있는 자료들을 실제 시험 환경에서 반복적으로 풀어보고, 채점 및 분석하는 것을 반복하다 보니 일단 작도시간 및 완성도가 눈에 띄게 향상되었고, 강의를 들을 당시에는 이해되지 않던 추상적인 내용들 (동선이 어떻고 space program이 어떻고 zoning은 어떻게 하고 등등) 이 자연스럽게 이해가 되었습니다. 7-8월 정도 되니 제가 작성한 답안의 절반 정도가 합격권에 들 것으로 예상되었고 나머지들도 크게 벗어나지는 않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시험 결과 1,2교시는 턱걸이로 합격 / 3교시는 아깝게 떨어졌습니다. (‘강축방향’ 을 틀린 덕이 컸지요)


 3교시만 남은 2020년은 ‘이번에 끝내 버려야지’ 라는 생각으로 열심히 달렸습니다. 단면설계의 많은 부분이 작도의 완성도에 달려 있다는 생각으로 틈 날때마다 기출문제 및 온라인 강의용 문제들을 열심히 풀었습니다. 개인적인 사정으로 집에서 온전히 시간을 내기 어려운 경우가 많았는데, 전체 작도를 몇 개의 과정으로 나누어 부분적으로라도 연습 하였습니다. (예- 구조체를 그리는 데 20분을 할당하고 이것만 연습) 오프라인으로 들은 최종모의고사과정은 다른 사람들의 답안 및 완성도를 저와 비교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습니다. 오프라인 강의의 장점은 시험과 비슷한 환경에서 문제를 풀 수 있다는 점과 남과의 비교가 가능하다는 점인 것 같습니다. 다행히 금년도 1차 시험에서 3교시 합격을 끝으로 시험을 마무리할 수 있었습니다.


 현재 시험을 준비하고 계시는 분들께 제가 강조하고 싶은 것은 아래 정도입니다.
-  작도시간이 오래 걸리거나 완성도가 떨어지는 분들은 많이 그려보시는 방법 이외에는 없습니다. 각 작도 과정마다 목표시간을 정해 놓고 본인이 미흡한 부분을 집중적으로 연습하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한솔TV나 오프라인 강의장은 다른 사람들과 나를 직접 비교해 볼 수 있는 아주 좋은 방법입니다.
-  대지계획이나 건축설계1의 추상적인 개념들이 잘 이해되지 않으시면 문제풀이가 끝난 후, 분석이나 대안검토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시기 바랍니다. 시간의 차이는 있겠지만 여러 다양한 문제를 풀고 분석하다 보면 느낌이 오는 시점이 있습니다.
- 전국모의고사는 본인의 현 수준을 확인하고, 준비물에 부족한 점은 없는지 등을 체크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이므로 꼭 응시하세요. (특히 온라인 강의만 들으시는 분들께는 다시 없는 기회입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