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버튼

마이페이지
합격현황
축! 합격! 한솔아카데미는 신뢰할 수 있습니다. 신뢰는 하루아침에 이루어질 수 없습니다. 수험생께서 합격되시는 것을 최고의 보람과 기쁨으로 여기고 최선의 노력을 다 할 때 신뢰는 조금씩 쌓여가는 것으로 한솔아카데미의 신뢰만큼은 누구도 모방할 수 없을 것입니다.
 

저는 95년 학교 졸업이후 건설회사를 다녀서 건축사시험 보기 전까지 설계 및 수기 도면을 그려본 적이 없었습니다.
하지만 한 선배님의 권유로 건축사시험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2016년 건축사예비시험 합격으로 2017년 1교시 합격, 2018년 2교시 합격, 2019년 3교시 불합격, 2020년 3교시 합격으로 최종합격하였습니다.


2017년
2016년 건축사예비시험 합격이후 2017년 3월부터 정규반으로 건축사시험 공부를 시작하였습니다. 3과목을 한꺼번에 준비는 하였지만 직장 다니느라 평일 때는 공부를 못하였고, 학원은 빠짐없이 다녔으나 3교시는 거의 포기 1,2교시 위주로 하였습니다. 처음엔 답안작성 과정이 있는 줄도 모르고 3월 정규과정을 바로 하게 되어 도면의 기본을 그리는 법도 모르고 학원만 겨우 다녔습니다. 그렇게 기본도 안 된 상태에서 모의고사반도 따라 가기 어려웠습니다. 도면 한 장 제대로 완도도 못해봤고 2017년 시험은 경험으로 본다는 생각으로 부담 없이 치렀습니다. 근데 우연히 1교시를 63.5점으로 합격하였습니다.
이때 시험을 본 후 기출문제의 중요성을 깨달았습니다. 하지만 저는 기출도 제대로 보지 못하고 시험을 치렀습니다. 다음엔 기출문제를 열심히 풀어야겠다고 다짐하였습니다.


2018년
이제 2,3교시를 제대로 해보자는 생각에 답안작성 과정이 있는 2017년 12월부터 2.3교시 정규반과정을 등록하여 학원 빠짐없이 다니고, 꾸준히 평일에 퇴근후 도면 한 장, 토요일은 학원, 일요일 집에서 도면 2~3장, 기출문제도 꾸준히 풀어보고 시험을 치렀으나 2교시 77.5로 합격 3교시는 49점으로 불합격 하였습니다.
이때 시험 준비를 하면서 시험지의 지문 내용을 전부 도면에 반영해야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이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그래서 2교시를 합격하였습니다.
그런데 저한테는 가장 문제는 구조였습니다. 단면은 연습하면 되지만 구조에 대한 기본이 없는 상태에서는 점수를 내기가 어려웠습니다.


2019년
2019년은 3교시 한과목이 남은 상태로 최종합격을 목표로 3교시 전문반을 등록하여 5월 달부터 9월 시험을 목표로 퇴근 후 도면 한 장, 토요일 학원, 일요일 도면 2~3장을 꾸준히 그렸습니다. 그러나 단면 37.5점 구조 19점 총56.5점으로 불합격하였습니다. 단면도 점수도 많이 부족하고 여전히 구조에서 문제였습니다. 지문 분석을 잘못하기도 했고 지문에서 요구하는 내용도 잘 알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때의 불합격은 저한테도 충격이 많았습니다. 내년에는 붙을 수 있을까하는 걱정도 되기도 했습니다.
항상 시험지를 접하게 되면 그동안 풀어보지 못한 요소가 꼭 지문에 나와 당황스러웠던 것 같습니다.
이번엔 그럴 때는 절대 당황하지 말고 침착하게 지문에 있는 요소를 답안에 반영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2020년
올해부터 1년에 2번의 시험을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2019년 12월 3교시 전문반을 등록하여 3월 시험 합격을 목표로 공부를 하였으나 코로나로 시험이 연기되고 시험 일정이 다시 잡히면서 6월에 시험을 치렀습니다.
시험지를 받고 침착하게 풀면 문제가 없다고 다짐하면서 지문에 있는 모든 요소를 반영하려고 애를 썼습니다. 역시 평소 풀던 문제에서 다뤄보지 요소들은 꼭 나오는 것 같습니다. 평소 그려보지 않은 요소지만 최대한 반영하였습니다. 그리고 구조도 평소에 연습해보지 못한 유형이었습니다. 3번이나 그렸다 지우기를 반복해 1번 그리고 지문을 보면 맞지 않고, 지우고 또다시 그려서 지문과 대조하면 또 맞지 않고 아찔했지만 어느 순간 지문과 일치하기 시작하였습니다. 답을 알면 어렵지 않지만 풀어 나가는 과정은 한번도 풀어보지 못한 유형이라 쉽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단면 53점 구조 29점 총 82점으로 최종 합격하였습니다.

 

시험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지문에 있는 내용을 도면에 전부 표현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여러번 지문과 도면을 대조하면서 반영해 나가고, 지문에 여태 풀어보지 못한 요소가 나와도 절대 당황하지 말고 그것을 최대한 도면에 표현해야 합니다.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하시면 좋은 결과 있으실 겁니다.
감사합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