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행이다. 합격을 해서 다행이다..... 나름 많은 노력의 결과이라고 자부하는 마음도 있지만, 시험이란 운도 따라야 하는 법. 특히 건축사시험은 객관식 문제처럼 명확히 정답이 정해져 있는 것도 아닌 듯 하고....
나는 3년의 시간으로 건축사시험에 합격하였다. 사실 건축사를 시작한건 아주 오래전부터 였긴하나 1년을 기준으로 학원수업조차 다 들은 경우가 한 번도 없었고, 주어지는 문제를 다 풀어 본적도 한 번도 없었다. 노력이 없었다. 이렇게 한건 안한걸루 치자. 17년에 준비를 할 때 마음가짐은 무조건 수업을 다 듣는다. 주어진 문제는 프리핸드 및 단선으로 작도를 하더라도 다 풀어본다는 마음으로 임했다. 결과는 1,2교시 합격으로 나왔고, 역시 3교시는 작도 연습이 많이 필요하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18년에 준비를 할 때는 많은 문제를 풀고자 했다. 목표하는 시간에 맞춰 작도를 하고 미완성할 때는 완성까지 시간을 측정하며 시간을 줄이고자 고민했다. 충분한 자신감으로 시험에 응하였으나 결과는 낙방.... 자괴감이 들었다. 19년에 준비를 할 때는 그 동안 만들어 두었던 오답노트 및 정리노트를 중심으로 반복 학습하여 같은 유형의 문제를 틀리지 않도록 노력했으며, 목표하는 시간에 맞춰 그 시간 안에서 최대한 표현하도록 노력했다. 시간 이후의 작도는 의미가 없음으로 더 이상 작도를 하지 않고 나름 기준(학원의 모의고사 점수 평가처럼)으로 평가를 해서 점수와 합격여부를 자평하며 준비를 했다.
나는 건축사 공부를 하면서 어려웠던 것은 지문이다. 출제자의 의중을 파악하지 못해 해매고, 지문 그대로의 내용을 빠트리고 오해하고 공상해서 다른 방향으로 생각하고, 모르는 단어도 나오고.... 마음은 급하고.... 나의 오답노트에는 지문에 대한 해석과 번호를 매겨 나만의 순서대로 지문을 해석하는 방법 등을 만들었고, 반복적으로 실수하는 부분과 외워야 하는 것, 꼭 명기 해야 하는 것 등을 기록하여 문제를 풀기 전에 꼭 한번 읽고서 문제를 풀었다. 매일매일 시작하기 전 읽으니 자연스럽게 몸에 베이게 되고, 완전히 익숙한 것은 몇 개 씩 빼면서 읽는 시간을 조정했다. 혹 이해가 안 되거나 모르는 부분은 강사님께 꼭 확인 받았고, 납득이 안가는 부분이 있으면 그냥 이런 식으로 해야 하는가 보다 하면서 외우려고 노력했다.
건축사시험은 설계를 업으 로 하는 사람은 누구나 풀 수 있고 합격도 할 수 있으나, 노력을 기울이는 만큼 합격의 확률이 높아진다고 생각한다. 운 좋은 사람도 있다. 실력이 좋은 사람도 있다. 하지만 노력하는 자는 꼭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