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버튼

마이페이지
합격현황
축! 합격! 한솔아카데미는 신뢰할 수 있습니다. 신뢰는 하루아침에 이루어질 수 없습니다. 수험생께서 합격되시는 것을 최고의 보람과 기쁨으로 여기고 최선의 노력을 다 할 때 신뢰는 조금씩 쌓여가는 것으로 한솔아카데미의 신뢰만큼은 누구도 모방할 수 없을 것입니다.
 

과목별 합격자를 위한 준비방법 소개 : 통신강좌(이론)+9번의 시험(9주모의고사과정-학원)

 

저는 주변에 같이 근무하던 직장동료 및 대학교 선,후배들이 건축사가 되는걸 보면서, 본격적으로 2014년도 한해에 끝내겠다는 목표로 공부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첫 시험이라 그런지 1교시는 말 그대로 멘붕이었죠? 정말 올 한해(2014년)에 끝내겠다는 목표로 달려왔는데, 답안지를 제출 하고나니 착잡한 심정이었습니다. 정말 2교시고 뭐고 집에 가고 싶은 마음이 굴뚝같았지만 혹시 모르는 일이니 나머지 시간도 최선을 다해보자 라고 마음을 다잡고 나머지시험을 치렀습니다. 다행이 발표 날 2교시,3교시 과목별 합격을 했더라구요! 건축사가 된 것도 아닌데, 속으로 이 시험 별거없네 라는 생각을 했죠. 내년에는 한 과목 남았으니 안일한 생각으로 15년, 16년, 17년 3번의 좌절을 겪었습니다. 3번의 좌절을 겪고 나니, 이 시험에 대해서 자신감이 많이 떨어져있는 상태에서 처음부터 내가 뭐가 잘못됐는지 하나하나 고쳐보고자 마음먹고 18년을 준비하게 되었습니다.

 

첫 번째는, 과목별 합격자다보니 이론과정을 지난 3년 간 준비 없이 바로 전문반을 수강하여 문제만 풀어보곤 했는데, ‘18년도는 통신강좌 이론과정을 수강하면서 알고 있는 것들도 다시 하나하나 내 것으로 만들기 위한 준비를 했습니다. 분명히 과목별로 남으신 분들은 이론을 뭘 다시 들어야할지 아실 것입니다. 시간, 돈, 자만감 내지는 여러 가지 것들이 부담으로 여겨지실 겁니다.

 

하지만, 저처럼 몇 년의 시간이 흐르다 보면, 모르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당연히 아는 것으로 착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통신강좌내지는 학원강좌 등을 통해 강의 내용을 다시 한번 내 것으로 만드는 과정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돌다리도 두들겨보는 심정으로 하나하나 준비를 해나가기를 바랍니다. 특히나 과목별 합격자 분들은 공부과목이 줄어들다 보니 이정도 공부하면 되겠지 하는 나름대로의 계획이 있으실거라 생각됩니다. 하지만 저처럼 3과목을 준비하다 1과목 또는 2과목 남으신 분들은 그 다음 해는 제대로 스케줄관리가 안되어서 몇 번의 낭패를 보신 분들을 많이 봐왔습니다. 따라서 어떻게 스케줄을 잡아서 공부할지에 대한 생각을 가지신 분들이라면 초반부터 학원내지는 통신강좌를 통해서 스케줄을 잡아나가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 생각됩니다. 물론 스스로 스케줄을 잘 잡아서 공부하시는 분들도 있기에 이런저런 것들이 잘 된다고 여겨지는 분들한테는 제가 했던 방법이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두 번째는, 저는 ‘9주의 모의고사과정(학원수강)에 학원을 수강하여 정말 9번 모두 시험을 친다는 생각으로 한주, 한주를 준비 했습니다.

9번의 모의고사를 보면서 매주 문제에 따라서 꼭 알고 넘어가야 하는 것들을 체크했습니다. 학원문제를 푸시다보면 다 거기서 거기 같지만, 문제에 따라서 내포하고 있는 체크 포인트들이 있습니다. 단순히 문제를 풀어서 정답을 맞추는 것에 집중하지 마시고 그런 ‘체크포인트를 내 것으로 만드는데 집중하셨으면 합니다.

참고로 저는 올해 학원 답안과는 달랐지만 분석조닝은 35/35점, 배치는 57.5/65점을 받았습니다. 물론 배치는 학원 답안과 비슷하기는 하지만, 공부를 하시면서 꼭 답안을 맞추기 위해 집중하기 보다는 기본적인 것들(동선,향등등..)을 어떻게 지문에 맞게 표현했는지 검토 해보는 것이 더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됩니다.

아울러 이런 것들을 꼭 정해지 시간(3시간)에 표현하도록 노력하셔야 합니다. 그런 방법으로 저는 학원 모의고사 과정을 신청해서 그 시간 안에 풀어서 제출하고자 했습니다. 그래야 시험장가서 문제에 난이도 및 시간배분 등에 따라 당황하지 않으실 겁니다.

어려운 문제는 어려운대로 적응을 하셔서 꼭 제출하셔서 체크를 받길 부탁드립니다.

 

마지막으로 꼭 포기하지 마세요!

이 시험은 일반적으로 건축사들이 되시는 분들에게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시험이긴 합니다.

 

하지만, 소수의 몇 사람만 합격하는 시험 또한 아닙니다. 차곡차곡 나름대로 준비를 하신다면, 누구나 합격 하실 수 있는 시험이므로 절대 포기하지 마시고 준비하셔서 좋은 성과를 이루시길 기원합니다.

 

물론 제가 했던 방법이 모든 사람에게 적용되는 방법은 아니지만 과목별로 합격을 하셔서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모르시는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됐으면 하는 마음으로 합격수기를 전합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