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버튼

마이페이지
합격현황
축! 합격! 한솔아카데미는 신뢰할 수 있습니다. 신뢰는 하루아침에 이루어질 수 없습니다. 수험생께서 합격되시는 것을 최고의 보람과 기쁨으로 여기고 최선의 노력을 다 할 때 신뢰는 조금씩 쌓여가는 것으로 한솔아카데미의 신뢰만큼은 누구도 모방할 수 없을 것입니다.
 

 저는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건축학과를 졸업하고 서울에서 전통건축을 응용한 현대건축설계분야에서 다년간 근무하였습니다.

 2013년에 광주로 내려온 후 문화재수리기술자인 보수기술자를 취득하고 2014년에 큰아이를 낳았습니다. 2015년부터 본격적으로 건축사 공부를 시작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둘째아이를 임신한 사실을 알았습니다. 첫아이 임신때 입덧이 유달리 심했던 경험 때문에 걱정이 앞섰습니다. 다행히 입덧도 심하지 않고 하루 7시간씩 앉아서 공부를 하는데도 불편하지 않아 ‘복덩이를 가졌구나’ 생각하고 열심히 공부하였습니다.

 2015년 첫해 임신 7개월의 몸으로 시험을 봤고 3교시를 78점으로 합격하였습니다.

 2016년 2월에 둘째아이를 출산하고 4월부터 다시 공부하였으나 그해에는 1,2교시 모두 불합격하였습니다. 심적으로 너무 힘들고 답답해서 시공 현장 감리 일에만 매진하면서 마음을 다스렸습니다. 시간이 지나고 다시 공부를 시작했던 이듬해 3월부터 조금씩 안정되면서 2017년 드디어 1교시 74점, 2교시 68점으로 최종합격이라는 감격의 순간을 맛보았습니다.

 그동안 빨간펜 선생님처럼 애정어리고 꼼꼼하게 지도해주신 오호영 강사님, 불합격했을 때도 자신의 일처럼 걱정해주시고 황당한 질문에도 섬세하게 지도해주신 권성만 강사님, 매의 눈빛으로 언제나 긴장할 수 있도록 채찍질 해주신 박원영 강사님, 그리고 물심양면으로 신경을 써주신 광주한솔학원 강연구 원장님께 감사드립니다.

 

저의 공부 방법에 대해 많은 분들이 궁금해 하셔서 부족하나마 알려드립니다.

 

첫째, 구체적인 계획서를 만들어라.

 강의 일정에 맞추어 12월부터 9개월 동안 공부하여 9월에 시험을 보게 됩니다.

1단계(12월~2월) : 답안 작성 기초 및 이론 공부

▹1-1(12월) : 답안 작성 기초 과정으로 (이때 작도 습관을 잘 익히는 것이 중요)

▹1-2(1월) : 기초 이론 및 계획 각론 공부

▹1-3(2월) : 기출문제에 대한 개괄적으로 공부

2단계(3월~5월) : 정규수업에 맞추어 이론공부 및 기출문제 정복

▹2-1 : 각 교시별 수업에 맞춰 이론 정리

▹2-2 : 기출문제 과목별 3회씩 풀고 학원 답안과 본인 답안 비교 정리

▹2-3 : 기출문제 요소별 분석 후 정리(매우중요)

3단계(6월~8월) : 문제풀이 심화과정

▹3-1 : 문제 푸는 과정 연습 및 자신만의 문제 푸는 요령 정리

▹3-2 : 다른 사람과 답안 비교 후 장점을 취하고 본인 답안의 개선점 찾기

▹3-3 : 남은 한달 동안 나무 한그루에 집착하지 말고 숲을 보는 연습 (배치 및 평면 계획시 허리를 세우고 멀리서 보는 연습 중요)

 

둘째, 기출문제는 내 손안에 있소이다.

 기출문제를 제대로 풀고 정리하는 것은 다른 많은 응용문제를 푸는 것보다 우선시 되어야 합니다. 응용문제들은 기출문제를 토대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기출문제를 정확히 푸는 것이 중요합니다.

① 지문의 어휘를 정리하고,

② 지문을 만드는 방식을 익히고,

③ 주제와 지문이 말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

④ 기존의 모범답안들은 주제와 지문들을 어떻게 정리해서 보여주었는지,

⑤ 교시마다 각 연도별 주안점은 무엇인지

⑥ 대지형태 및 상태, 향, 접근동선, 축, 주변환경 등을 세분화하여 연도별 비교하고

⑦ 배치, 평면계획시 동선과 공간구성은 어떻게 정리하였는지

⑧ 각 학원별로 모범답안의 장단점을 비교한다

 기출문제를 이와 같이 정리하고 머릿속에 염두해 둔 후 다른 응용문제를 풀었을 때 유사한 것들을 파악하고 비교 정리해 나간다면 어떤 문제를 만나더라고 자신감이 생길 것입니다.

 

셋째, 늘 실전 시험처럼 시간을 세분화하라.

 각 교실별 시험시간을 세분화하여 실전처럼 문제를 푸는 연습이 중요합니다.

①처음 문제지를 받고 현황도 및 답안지를 파악한 후 지문을 읽고 분석하는 시간,

②지문을 보며 계획하고 작도 전까지 정리하는 시간, ③작도하여 완도 할 때 까지 필요한 시간 등을 세분화 하여 평소 자신의 작도 시간과 교실별 필요한 시간을 철저히 관리 한다면 당황하지 않고 문제를 풀 수 있습니다. 지문을 분석할 때 최소 5번씩 읽는 연습을 하면 지문을 놓치거나 실수하는 것을 줄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런 시간은 절대로 많은 시간이 소요되지 않으니 차분히 검토하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작도시 계속 남은 시간을 확인하면서 가선, 중심선, 구조선, 주차, 해치, 조경 등 요소별 작도 시간을 체크하면 남은 시간동안 얼마만큼 자신이 완도 할 수 있는지 가늠할 수 있습니다.

 

넷째, 여러 사람이 젓는 배가 더 빨리 파도를 헤쳐 나갈 수 있다.

 건축사는 혼자서 공부하는 것보다 같이 고민하고 토론하는 과정 속에서 자신도 모르게 많은 것을 습득하고 발전하는 공부입니다. 시간이 허락하는 한 주말마다 혹은 한 달에 2~3번 시간을 정해서 스터디 그룹을 만들고 같이 공부합니다. 혼자 끙끙거리며 공부하는 것보다 시간도 절약되고, 공감대가 형성되어 자료 공유 및 시험에 대한 준비 과정이 수월해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모르는 것에 대해 질문하고, 부족한 도면을 공유하고 검토 받는 것을 두려워하거나 부끄러워하지 마시고 적극적인 자세로 공부하는 것이 합격의 지름길입니다.

 

다섯째, 그날 풀었던 문제는 잠들기 전까지 소화시켜라!

 많은 문제를 풀기보다는 그날 한문제를 풀더라도 제대로 소화시키고, 그날이 지나기 전에 완전히 자기 것으로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학원에서 공부한다면 풀었던 문제를 다 정리한 뒤 귀가하고, 시간이 여의치 않는다면 잠들기 전에라도

한솔아카데미(학원사업부)

서울특별시 강남구 강남대로42길 13 (도곡동), 호성빌딩2/4층

대표자:김형중|사업자 등록번호:220-86-36881

고객센터 : 1670-7113

한솔아카데미(출판·인터넷사업부)

서울특별시 서초구 마방로10길 25(양재동), 트윈타워 A동 20층

대표자:이종권, 한병천|사업자 등록번호:213-86-33926

통신판매업 신고번호:제 2011-서울서초-1116호

고객센터 : 1670-6144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