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24년 1회차 건축사 합격수기
예비사에서 건축사합격을 하기까지 5년 넘게 걸렸습니다. 예비사합격 후 임신과 출산으로 인한 공백이 2년이 있었고 아이가 어린이집에 가면서 다시 건축사 시험 준비를 시작하였습니다. 학원은 예비사에서 많은 도움을 받은 한솔아카데미로 결정했고 이 결정에 후회는 없었습니다. 혼자 공부할 때 막막하던 부분과 현장감을 강의실에서 느낄 수 있었고 그 경험들이 쌓여 결국 해낼 수 있게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22-1 : 2교시 과목합격 23-1 : 1교시 과목합격 24-1 : 3교시 최종합격
학원을 다닌 해에는 서툰 솜씨에 합격을 못했지만 이후 매년 1과목씩 합격하였습니다. 한과목씩 합격한 덕분에 다음 시험에 과목마다 집중할 수 있었고 부족한 점을 보완할 수 있었습니다.
22-1 : 2교시 공용면적초과, 발코니 관람석이 이상하게 배치되어서 큰 점수를 기대기 어렵다 생각하고 최대한 내가 표현하고자 하는 걸 집어넣었습니다. 주차장출입구 쪽으로 코어를 구성했기에 주출입구 또한 그쪽이였습니다. 그래서 1층에도 2층 연결통로 하단에 문을 내어 각 동을 연결해 주었고, 지문에 장애인화장실을 보고 장애인들이 잘 지나다닐 수 있도록 보행통로에 경사로를 설치하였습니다. 동선은 깔끔히 나왔으나 기존 학원 답안들과 다른 부분이 있어서 크게 기대하지 않았으나 60점을 가까스로 넘겨 합격하게 되었습니다.
23-1 : 1교시 2교시를 합격하고 22-2회차 시험에서 불합격을 맛 본 뒤 지금까지 1교시 시험에서 부족한 점이 무엇인지 찾아보기 시작했습니다. 소과제인 분석에 집중하느라 대과제인 배치는 미완으로 제출한적이 많았고 그게 원인이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래서 분석은 기본만 하고 배치를 파기 시작했습니다. 다이어그램 그리는 연습부터 지문 정리 방법 등 모두 점검해서 쉽고 빠르게 눈에 들어오도록 정리하는 걸 연습했습니다. 23-1회차 시험에서는 배치는 학원답안들과 똑같았습니다. 다른 점이 있다면 지문사항을 좀 더 표현했다는 점입니다. 배치는 만점에 가까운 56점을 받았습니다. 배치에 집중하게 되니 분석은 역시 시간이 부족했습니다. 분석은 기본만 하자는 생각으로 면적, 단면 등 모두를 계산없이 그냥 작도하였습니다. 결과는 기본점수인 10점대가 나왔습니다. 배치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지만 분석에서 낮은 점수를 받았기에 60점대로 합격하였습니다.
24-1 : 3교시 시험 준비하면서 가장 힘들고 하기 싫었던 과목은 역시 3교시 단면이였습니다. 계획하는 재미가 있던 1, 2교시와는 달리 3교시 단면은 작도를 시작하는것도 힘들었습니다. 흔히 돌아다니는 합격자, 불합격자들의 고퀄리티 단면들에 기가 죽었고, 그 수준 작도는 해야 겨우 합격점에 들 수 있구나 하는 생각에 엄두도 안 났었습니다. 학원을 다녔을때 필기해두었던 자료들을 천천히 살펴보며 어떤식으로 해야할지 고민하였고 1교시때와 마찬가지로 지금까지 시험에서 점수가 낮은 원인을 찾았습니다. 3교시 역시 단면에 집중하느라 구조는 뒷전이였고 단면을 그리기 바빠 지문조건을 빼먹기 일수였습니다. 그랬기때문에 항상 단면점수도 구조점수도 좋지 않았었습니다. 그래서 1교시와 같이 지문조건을 정리하는 연습과 가단면 연습을 많이했습니다. 구조는 a4로 출력해서 수시로 풀어봤습니다. 24-1회차 시험때는 구조먼저 풀고 단면을 그리자란 생각으로 시험장에 들어갔으나 구조의 난이도가 높아보여 바로 단면을 시작했고 이전 단면과는 달리 이번엔 작도량이 많았다고 느껴졌습니다. 그래서 단면을 끝냈을때는 40분가량밖에 남지 않았고 구조는 40분동안 깊게 생각하지 않고 짧게 생각하고 그렸습니다. 깊게 생각하면 오히려 생각의 구덩이에서 빠져나오지 못한다는 생각에 그냥 단순하게 생각하고 그렸습니다. 그랬기에 캔틸레버슬래브는 놓쳤지만 노트는 작성할수 있었고 깔끔한 계획이 나왔기에 구조는 20대 점수를 받을 수 있었습니다. 단면을 작도할 때는 연습했던 것처럼 주요한 지문이라고 생각되는 부분은 알아보기 쉽게 표시했고 시험지에도 잊지않고 표시하며 작도하였습니다. 이번 단면에서 주요 지문은 벽돌, 창호 입면표시와 이중외피, 계단에 노출된 보, 기존부분과의 익스펜션 조인트, 방화셔터 라고 생각했습니다. 해당부분은 지문표현 및 노트를 적었고 그 덕분에 좋은 점수를 받은것같습니다. 이번 시험은 평면을 잘못 해석하여 조경 위에도 슬래브를 덮었기에 합격은 커녕 좋은 점수도 기대하지 않았었습니다. 그러나 지문조건들을 반영한 노력을 높이 사주신건지 40점대 점수를 받아 총 60점대로 합격할수 있었습니다.
긴 시간이였지만 차례로 한과목씩 합격하면서 희망을 놓지 않을 수 있었습니다. 이 시험은 작도수준과 예쁜 글씨보단 지문을 어떻게 해석하고 반영했는지가 가장 중요한 것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