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회 3교시 2과제 구조문제는 지하1층, 지상3층 규모의 전시시설 구조계획으로
지상2층 구조평면도 및 기둥배근상세도 및 강재기둥 주각부상세도를 작성하는 과제입니다.
철근콘크리트조와 강구조의 혼합구조로 모듈계획의 합리성과 구조부재의 계획능력과
도면작성 요령 준수 및 가독성에 대한 종합적인 구조계획을 평가하는 시험이었습니다.
첫 번째, 모듈계획의 합리성에 대한 사항으로 모듈과 구조형식의 적정성입니다.
점수배점이 낮긴 하지만 구조계획에서 제일 중요한 부분으로
전반적인 철근콘크리조 및 강구조의 각 형식별 주어진 조건에 따른 모듈계획과 구조형식의 분리(신축이음)설치는 우수하였으나
제시된 2층평면도(개구부, 캐노피, 발코니)의 요소별 표현의 누락과 실이 아닌 외부(사무실 우측공간)에 구조표기 실수가 많았습니다.
이는 불합리한 구조계획 및 도면의 완성도를 떨어뜨리는 사항으로 낮은 배점으로 이어지는 부분이 많습니다.
전체적인 계획의 방향이 지문(구조형식별 위치 및 형상)과 부합하는지 최종 작도 전에 검토 및 확인을 하였으면 좋겠습니다.
두 번째, 구조부재의 계획능력 중 부재배치의 적정성 검토입니다.
첫 번째 사항을 잘 정리하였다면 구조평면도 부재배치의 경우 모범답안과 가까워 큰 감점사항으로 이어지지 않지만
기본적인 사항(기둥의 개수 및 보의 간격, 데크플레이트의 방향 조건)이 어긋나면 전체적인 구조계획이 달라집니다.
대부분 조건에 따른 작은보의 방향 및 데크플레이트의 방향에 대해서 잘 표기하였지만
답안과 다른 반대의 방향에 대해서는 점수 획득이 어려웠습니다.
요구하는 2개의 상세도의 경우에는 답안과 다소 상이하더라도
도면작성 요령에서 기재되어 있는 부재를 기준으로 활용하여 표현하였다면 어느정도 배점을 획득할 수 있었습니다.
세 번째, 도면작성 요령 준수 및 가독성입니다.
매번 반복적으로 얘기드리지만
도면작성 요령 및 보기의 표현방법이 지켜져야 도면이 완성됩니다. 그렇지 못한 도면은 감점 및 완성도를 저하시킵니다.
본 모의고상의 경우 <보기1>의 콘크리트 기호 기재방법과 <보기2>의 철근콘크리트 기둥, 철근콘크리트 벽체 등
표기를 달리하여 다소 감점부분이 많았습니다.(기둥 솔리드표현, 건물외곽 보 실선표기, 벽체 솔리드 누락)
완도의 기준인 지문조건이 채점의 중요한 부분인 만큼 불필요한 표현방법 보다는 기본에 충실한 도면작성을 요청드리며,
가독성이 떨어지는 텍스트는 점수 배점이 낮아지는 만큼 텍스트 표기도 한번 신경써주시기 바랍니다.
다시한번, 지문에 표기되어 있는 사항을 숙지하고 답안 제출 전까지 누락되거나 지문과 다른 표현이 없는지 다시 한 번 살펴보셨으면 하며,
급하게 작도를 하기보다는 무엇보다 구조계획의 핵심인 전체적인 구조계획 방향이 맞는지 최종적으로 확인하시는 시간을 가지셨으면 합니다.
많이 그리는 것보다 정확하게 필요한 만큼 그리는 것(호소력 있는 도면)이 당연하지만 배점이 높은 만큼
불필요한 작도로 인해 나머지 과제의 시간을 낭비하는 것을 고려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아무쪼록 이번 모의고사에서 점수가 아닌 수험자 각자의 전략 및 부족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는 기회가 되시길 바라며
새로운 문제풀이 및 작도 보다는 지금까지 풀었던 문제를 유형별로 잘 정리하시어 금회 시험에 꼭~ 좋은 결과가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